기사 메일전송
[평택촌놈의 주간시황] 미국 국채 금리의 이해
  • 편집국
  • 등록 2018-10-10 10:00:00

기사수정

 

정오영 / 평택촌놈 대표

 

반등을 이어가던 주식 시장이 미국발 국채 금리 급등 영향과 미중 무역 분쟁 이슈로 다시 단기 조정세에 들어갔다. 북미 정상회담, 미중 무역 분쟁 등 굵직한 이슈가 연달아 있지만 현재 시장은 미국의 장기 국채금리와 기준금리 추가 인상 속도와 그 가능성에 더 비중을 많이 부여한 모습이다.

 

오늘은 그런 관점에서 미국의 국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국채란 독자들도 알다시피 국가가 발행한 채권으로 국가는 채권의 판매로 재정을 마련한다.

 

일반 법인이 어떤 사업을 진행하려면 사업비가 필요한 것처럼 한 국가도 인프라 투자나 복지사업 등을 진행하려면 재정이 필요하고, 재정 마련의 한 방법으로 국가가 인증한 채권을 판매한다. 여기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10년물 채권이란 만기가 10년 뒤에 있는 채권이며 역사적으로 미국 정부의 장기 채권은 가장 안정적인 상품으로 인지 되었다.


중요한 것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주택, 자동차 담보 대출의 표준으로 작용하는 특징이 있고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시중 금리도 동반 상승하게 된다.

 

이런 금리 상승은 대출 상환 압력으로 작용하며 소비, 투자 여력이 줄고 내수시장에 자금 순환이 안 되는 부작용을 낳는다.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면 신규 투자가 위축되는 점도 생각해봐야 한다.


아울러 현재 미국 달러 강세가 지속하고 금리가 올라가면서 신흥국과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미국의 금리 인상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달러 대출이 많은 국가들은 통화가치 하락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곧 자국 금리 인상, 달러 강세, 외화 유출의 순서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의 장기 채권은 역사적으로 시중 금리보다 낮은 이율이 책정되어 왔다. 왜냐하면 이자는 리스크에 비례하는 특성이 있고, 미국의 채권은 G2라는 위치상 그 안정성이 보장이 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매우 낮은 금리가 메겨지곤 했다.


그런데 연준에서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 계획을 밝히면서 미국의 재정확대 정책과 물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장기 채권 금리는 심리적인 마지노선인 3%를 넘게 되었다. 그러면서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의 특징을 가진 미국 장기 국채 상품은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의 매력을 갖게 되었다.


이런 증상으로 투자 자금이 미국 장기 국채금리에 유입되고 주식 시장과 부동산 등에서의 자금 이탈 현상인 `머니무브`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최근 외국인 자금의 이탈 배경은 이런 현상이 상당히 작용한 것으로 본다. 위에서도 `마지노선`을 말했지만, 3%를 훌쩍 뛰어넘은 미국 국채 금리의 강세가 지속할 경우 주식 시장에서의 수급 이탈은 계속 될 수 있다.


그래서 돌아오는 한 주는 다른 이슈 보다는 미국 국채 금리의 상승세와 금리 상승을 진정시키기 위한 연준 위원들의 발언 등을 주목하여 시장에 대비할 것을 권장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