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주 시내버스 임금협상 극적 타결
  • 고훈
  • 등록 2014-12-24 10:07:00

기사수정
  • 전일여객, 제일여객 조합원과 사측, 협상 6개월만에 타결

전주 시내버스 임금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됨으로써 시민들의 교통 불편이 해소되게 됐다.

 

이와 함께 노·사가 모두 참여하는 전주 시내버스 대타협위원회가 출범하게 돼 시내버스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시는  ‘전일여객, 제일여객 등 전주지역 2개 회사 민주노총 공공운수소속 조합원과 사측 간 2014년 임금협상이 17일 오후 2시에 타결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임금협상 타결은 지난 7월3일 전주지방노동위원회 제2차 조정회의에서 사측이 제시한 임금 5%인상안을 노조 측이 거부, 결렬된 후 6개월 여만이다.

 

노·사 양측은 그동안 7차에 걸쳐 교섭해왔으나 회사측은 한국노총 조합원과 동일한 5% 인상안을 민주노총은 9% 인상안을 꾸준히 주장해왔다.

 

이 가운데 노조는 지난 10월 30일 7차 교섭을 마친 이후, 4차례에 걸친 부분파업을 단행함으로써 시내버스 이용자들의 교통 불편이 가중돼왔다.

 

시는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그 동안 노조 측과 사측의 만남을 수시로 주선하는 등 노·사 양측을 최종 설득해온 끝에 5.38% 인상안으로 타결을 이끌어 냈다.

 

이번 전주 시내버스 임금협상이 타결됨으로써 노·사·정 상호간 신뢰회복은 물론, ‘버스타기 좋은 전주 만들기’를 내걸며 추진돼온 시민대타협위원회도 가동하게 됐다.

 

민선6기 출범 이후 시내버스 문제 해결을 시정 최우선 과제의 하나로 잡은 전주시는 지난 10월부터 시민대타협위원회를 구성, 가동할 계획이었다.

 

각계각층 23명으로 구성되는 대타협위원회는 특히, 신성과 전일·제일·호남·시민 등 5개 운송사업자와 한국노총, 민주노총, 국민노총, 개별노조 대표 등 노사가 참여, 실효성이 기대돼왔다.

 

하지만 전일여객과 제일여객 등 민주노총 측이 임금협상이 완료된 뒤 참여하겠다며 거부, 구성 자체가 지지부진하는 등 상당한 진통이 뒤따라왔다.

 

전주 시내버스 시민대타협위원회는 노·사 또는 노·노간 다툼에 대한 협상(안) 제시, 보조금의 투명한 관리, 운송사업자 경쟁력 강화 등을 조정한다.

 

또한 노선 개편 및 지간선제, 승강장 설치 기준, 운영체계 개선 등 대타협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심도있게 고민하고 결정해 나갈 예정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