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익산평화지구 도시주거환경개선사업 반발 “보상금액 형평성 없고 토끼몰이식 추진 안 돼”
  • 홍문수 기자
  • 등록 2016-10-04 10:14:00

기사수정

반대측, 3.3㎡당 거주지구 160만원 상업지구 140만원
“LH공사 기업논리 터무니없는 보상, 끝까지 투쟁” 천명




익산평화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해당부지 상인들이 낮은 보상가를 이유로 보상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주민대책위 쪽 보상은 이미 이뤄졌으나 상인들이 결성한 보상반대추진위 쪽이 보상에 반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익산 평화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과 관련하여 ‘주민대책위원회 및 주민일부’는 보상이 마무리 됐다. 그러나 상인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보상반대추진위원회(대표 변상순)’ 측과 전북LH공사는 보상을 두고 서로 감정대립을 하는 양상이어서 사업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보상반대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는 “평화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보상과 관련하여 전북LH공사의 감정평가와 보상금액에 원칙과 기준도 없다“며 보상을 거부하고 있다.


위원회에 따르면 “평화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은 2005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으로 당시 이 일대를 사업지구로 묶어놓고 전북LH공사가 10년 동안 시간만 허비하다 2005년 공시지가로 협상을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위원회는 “주거지와 상업지의 보상금액에 기준과 일관성이 없으며, 모현동 상업지구의 경우 3.3㎡당 400~500만 원 대인데 반해, 전북LH공사가 제시한 보상액은 3.3㎡당 거주지구는 160만원대, 상업지구는 140만원대로 책정하여 이 금액으로는 아무데고 갈 곳이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한 조립식 무허가 건물의 경우 3.3㎡당 100만원대 보상가격이 책정된 반면, 상업시설의 철골조 건물은 70만원대로 평가되어 감정평가의 일관성이 없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위원회는 특히 “이미 보상을 받은 주민대책위원회(대책위)의 위원장과 일부 간부들은 토지, 건물, 지장물 등을 포함하여 3.3㎡당 400만 원 정도로 보상이 모두 끝났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런 주장은 보상대책위에 관련된 인사들에게 특혜를 주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아울러 보상반대추진위원회는 “전북LH공사는 기업논리만 내세워 터무니없는 보상액으로 마치 토끼몰이식 반강제적인 보상 및 철거를 예정하고 있다”며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계가 걸린 만큼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경고했다.


평화동이 지역구인 김충영 시의원은 “지난달 30일 평화지구 보상반대추진위원회와 익산시장실에서 정헌율시장과 면담을 가졌으며, 현재 진행 중에 있는 토지 및 지장물, 영업권 보상과 관련하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시장을 비롯하여 지역구 시의원 등이 함께 전북LH공사를 직접 방문하여 논의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에 해당부지 보상을 반대하는 한 상인은 “익산시와 정시장이 앞장서 제대로 된 감정평가와 보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별다른 대책 없이 전북LH공사를 방문하면서 시간 끌기에 나서는 것은 아닌가” 의구심을 표했다.


익산시 관계자는 “보상액 총 331억중에서 토지 144건에 대한 보상액 171억원, 지장물 139건에 대한 97억원이 보상이 완료되어 잔액 63억원이 남았으며, 이달 안으로 중앙토지 수용위원회에서 현장을 방문하여 보상을 위한 감정평가가 다시 이루어질 예정이다”고 밝혔다.


익산시 구도심활성화와 평화동 일대의 열악한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익산평화지구 도시주거환경개선사업은, 전북LH가 평화동 인근 90~20번지 일원 63,821㎡부지에 887세대(임대200, 분양687) 공동주택(아파트)건립과, 주택단지 주변도로 폭을 10m에서 25m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국비와 시비 등 총사업비 1,634억원이 투입되며, 2017년 10월 착공에 들어가 2020년 2월 입주 할 예정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